토목기사/측량학25 [측량학] 제 6장. 기준점 측량(트래버스의 계산/트래버스의 조정 및 면적계산)#2 3. 트래버스의 계산 (1)방위각 계산 1)방위각: 자북 또는 진북(자오선)을 기준으로 반드시 시계방향으로 그 측선에 이르는 각을 말한다. 2)교각 측정시 ·시계방향으로 계산: 전측선의 방위각 +180도- 그 측점의 교각 ·반시계방향으로 계산: 전측선의 방위각 -180도+ 그 측점의 교각 3)편각 측정시 ·시계방향: 전측선의 방위각 +편각 ·반시계방향: 전측선의 방위각 -편각 4)이렇게 계산한 방위각이 -값이면 +360도, 360도가 넣으면 -360도를 한다. 5)역 방위각: 방위각 +180도 ※측각⟶측각오차⟶조정⟶조정각⟶편,교각⟶방위각,역방위각(방위 역방위) (2)방위각과 방위 상한 방위각() 방위 제1상한 0~90도 N방위각E 제2상한 90~180도 S(180도-방위각)E 제3상한 180~270도 S..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8. [측량학] 제 6장. 기준점 측량(트래버스 측량의 개요/트래버스의 각 관측)#1 1. 트래버스 측량의 개요 (1)정의: 기준점을 연결하는 측선의 길이와 그 방향을 관측하여 측점을 연결하는 측량을 다각측량(Travers Surveying)이라 한다. ※다각측량의 특성 ·복잡한 시가지나 지형의 기복이 심하여 시준이 어려운 지역의 측량에 적합 ·도로, 수로, 철도와 같이 폭이 좁고 긴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다. ·거리와 각을 관측하여 도식해 법에 의하여 모든 점의 위치결정에 편리하다. ·좁은 지역의 세부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을 추가 설치할 경우에 편리하다. ·면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경계측량에 편리하다. (2)트래버스의 종류 1)개방 트래버스: 정도가 낮아 노선측량의 답사등에 이용(미지점 ⟶ 미지점) 2)폐합 트래버스: 한 점에서 시작하여 다시 시작점에 폐합시킨 트래버스로 소규모지역에 ..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7. [측량학] 제 5장. 각/트랜싯 측량(오차의 종류/오차의 거리)#2 3. 오차의 종류 (1)방향각법의 오차(방향각법자체가 단측법이다.) 1)1방향에 생기는 오차 2)2방향에 생기는 오차 3)n회 관측한 평균값에 의한 오차 (2)배각법(반복법)의 오차 (3)오차의 원인과 처리방법 오차의 종류 오차의 원인 처리방법 연직축 오차 평반 기포관축이 연직축과 직교하지 않을 때 또는 연직축이 연직선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조정이 불가능 내심오차 수평회전축과 수평분도원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A, B 버니어의 읽음값을 평균 분도원의 눈금오차 분도원 눈금의 부정확 분도원의 위치를 변화시켜 가면서 대회관측(대회법) 시준축 오차 시준축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을 때 망원경 정·반의 읽음값 평균 수평축 오차 수평축이 연직축과 직교하지 않을 때 망원경 정·반의 읽음값 평균 외심오차(시준선의 편..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7. [측량학] 제 5장. 각/트랜싯 측량(각 측정법/트랜싯의 조정(설치 요령))#1 1. 각 측정법 (1)한 점 주위의 각을 잴 경우 1)단측법 : 1개의 각을 1회 측정하는 방법으로 단각법이라고도 한다. ·단측각= 나중 읽음 값 - 처음 읽음 값 2)방향각법 :1점 주위에 있는 각을 연속해서 측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간은 절약되나 정밀도가 낮다. 3)배각법(반복법) :1개의 각을 2회이상 반복 관측하여 어느 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반복법이라고도 한다. ※배각법의 특징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기오차(베타)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눈금을 직접 측정할 수 없는 미량의 값을 누적하여 반복횟수로 나누면 세밀한 값을 읽을 수 있다. 4)각 관측법: 각각 관측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측정하여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1,2등 삼각측량에 주로 사용한다. (2)측선과 ..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7. [측량학] 제 4장. 수준측량(간접 수준측량과 종횡단 수준측량/수준측량에 관한 일반사항(조정법,오차론)/오차와 정밀도)#2 4. 간접 수준측량과 종횡단 수준측량 ※수준 측량은 수준기를 사용하여 지구표면의 두 점간이나 여러 점의 높이와 고저차를 측량하는 것으로 고저측량 또는 레벨측량이라고도 한다. 수준측량은 측량 방법에 따라 직접 수준측량, 간접 수준측량, 교호 수준측량, 약측 수준측량으로 구분된다. 직접 수준측량은 수준기를 사용해 두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차로 직접 고저차를 관측하는 것이고 간접 수준측량은 수준기 이외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교호 수준측량은 수준기를 측점 중간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고저차를 직, 간접으로 구하는 방법이고 약측 수준측량은 간단한 수준측량 기구를 이용하여 두 점 간의 표고차를 구하는 것이다. (1)간접 수준측량(앨리데이드) (2)유토곡선(=토적곡선, mass curve) 5. 수준..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7. [측량학] 제 4장. 수준측량(개요/레벨의 종류와 구조/수준측량 방법)#1 1. 수준측량의 개요 (1)수준측량의 용어 ·기준면: 지반고의 기준이 되는 면을 말하며 이 면의 모든 높이는 ‘0’이다. 일반적으로 기준면은 평균해수면을 사용하고 나라마다 독립된 기준면을 가진다. ·수준원점: 기준면(가상의 면)으로부터 정확한 높이를 측정하여 정해놓은 점으로 우리나라는 인천 인하대학교 교정에 있으며 그 높이는 26.6871m이다. ·수준면(Bench mark, B.M): 기준 수준면에서부터 높이를 정확히 구하여 놓은 점으로 수준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국도 및 주요 도로를 따라 2~4km 마다 수준표석을 설치하여 놓았다. ·연직선: 지표면의 어느 점으로부터 지구 중심에 이르는 선을 말한다. ·수준선(level surface): 각 점들이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곡면으..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7. [측량학] 제 3장. 평면측량(평면을 이용한 응용측량/평면측량의 오차)#2 3. 평판을 이용한 응용측량 (1)앨리데이드의 양 시준판의 최소 눈금은 양시준판 간격의 1/100이다. (2)간접 수준 측량(그림을 이해) 4. 평판측량의 오차 (1)기계적인 오차 1)외심오차(e1) :앨리데이드의 잣눈과 시준선이 일치하지 않아 생기는 일종의 편심오차 2)앨리데이드의 시준오차(e2) 3)자침오차(e3) (2)평판을 세울때의 오차 1)도판의 경사에 따른 오차(e4, 정준오차) 2)구심의 허용오차(e5) :지상의 점과 도면상의 점의 편심거리의 허용량 (3)측량방법에 따른 오차 1)방사법에 의한 오차 :방사법은 각 측점들을 개별적으로 시준하므로 시준 오차(m1)와 거리 오차 및 축적에 의한 오차(m2)의 합으로 표시한다. 2)전진법에 의한 오차 3)교회법에 의한 오차 (4)폐합오차의 조정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5. [측량학] 제 3장. 평면측량(평면측량의 방법/3점 문제)#1 1. 평판측량의 방법 (1)방사법: 장애물이 없어 시준이 잘되는 좁은 지역(60m이내)에 이용되며 도면상의 각 점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 (2)전진법: 측량지역에 장애물이 있어 이 장애물들을 비켜서 측점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고 평판을 옮겨 가면서 측량, 비교적 정확함 (3)전방교회법: 2개 이상의 기지점에 기계를 세우고 시준하여 얻어지는 방향선의 교점으로 거리를 측정하지 않고도 도상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 이때 방향선의 길이는 10cm 이하, 교회각은 30~150정도로 한다. (4)측방교회법: 전방교회법과 후방교회법을 겸한 방법으로 시준이 잘되는 여러 목표물을 미리 정해 놓아 이 점들을 시준하여 다른 점들을 구하는데 이용 (5)후방교회법: 미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기지점을 시준하여 그 방향선을 교차..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5. [측량학] 제 2장. GPS측량 및 거리측량(거리 측정값의 보정/오차와 정밀도)#2 3. 거리 측정값의 보정(공식 외울 필요x) (1)표준 테이프(줄자)에 대한 보정 (2)온도에 대한 보정 (3)표고에 대한 보정 (4)경사에 대한 보정(숫자 2는 뒤에 배치) (5)처짐에 대한 보정 (6)장력에 대한 보정 4. 오차와 정밀도 (1)정밀도(Precision): 정밀도란 어떤 양을 측정했을 때에 정확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오차와 측정량과의 비로서 분자를 1로 나타낸다. 여기서 오차란 우연오차다. (2)최확값(L0): 최확값이란 같은 기구와 같은 측정방법으로 여러번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 것으로 참값을 대신해서 실제의 값으로 쓰인다. (3)허용정밀도의 범위 1)정오차: 측정횟수에 비례 2)우연오차: 측정횟수에 제곱근에 비례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5. [측량학] 제 2장. GPS측량 및 거리측량(GPS 개요/GPS 측량방법 및 오차)#1 1. GPS 개요 (1)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알고있는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까지의 소요시간을 관측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하는 범지구위치결정체계이다. 측량 방법은 위치가 알려진 위성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후방교회법에 의한다. (2)GPS측량의 장·단점 장점 단점 ·기상조건에 영향 x ·야간에 관측이 가능 ·관측점 간의 시통이 필요 없다. ·장거리도 측정 가능 ·3차원 측정 가능 ·움직이는 대상물 측정 가능 ·고정 및 측량이 가능 ·24시간 상시 높은 정밀도 유지 ·실시간으로 측정 ·우리나라 좌표계에 맞게 변환해야 한다. ·위성의 궤도 정보가 필요하다. ·전리층 및 대류권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임계고도각은 ..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5. [측량학] 제 1장. 측량학 개론(관측값의 처리방법/종합)#3 6. 관측값의 처리방법(우연오차를 깊이 이해) (1)확률곡선(Normal curve) ※평균오차(표준오차): 전체 면적의 68.3%를 차지하고, 여기에 0.6745를 곱한 값이 확률오차이다. 1)확률 :측량에 있어서 미지량을 관측할 경우 부정오차의 발생이 불확실할 때 이 오차가 일어날 가능성의 정도 2)오차의 법칙 : 우연오차는 어떤 법칙을 갖고 분포하게 되는 분포특성이 있는데 이를 오차의 법칙이라 한다.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같은 크기의 양(+)오차와 음(-)오차가 생길 확률은 같다. ·매우 큰 오차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3)확률곡선(오차곡산, 정규분포 곡선)과 확률오차 : 오차의 법칙에 따른 특성을 갖는 곡선을 말하며 확률오차는 밀도함수 전체의 50% 범..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5. [측량학] 제 1장. 측량학 개론(좌표/지구물리측량/오차의 원인과 종류)#2 3. 좌표 (1)평면 직각 좌표: 자오선을 X축, 동서방향을 Y축이라 한다. ※우리나라 도원점의 위치(가상점) 명칭 경도 위도 서부 원점 동경 125 북위 38 중부 원점 동경 127 북위 38 동부 원점 동경 129 북위 38 동해 원점 동경 131 북위 38 (2)U.T.M 좌표 :U.T.M(국제 횡 메르카토르(Mercator)) 투영법에 의하여 표현되는 좌표계로서 적도를 횡축, 자오선을 종축으로 하는 평면 직각좌표를 말한다. 1)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보고 베셀(Bessel) 값을 사용 2)지구 전체를 6씩 60개의 구역(종)으로 나누고 각 종대의 중앙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점으로 하여 원통도법인 횡 Mercator(TM) 투영법으로 등각투영한다. 3)각 종대에서 위도는 남·북위의 각 80까지만 포함.. 토목기사/측량학 2019. 7. 4. 이전 1 2 3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