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트래버스 측량의 개요
(1)정의
: 기준점을 연결하는 측선의 길이와 그 방향을 관측하여 측점을 연결하는 측량을 다각측량(Travers Surveying)이라 한다.
※다각측량의 특성
- 복잡한 시가지나 지형의 기복이 심하여 시준이 어려운 지역의 측량에 적합
- 도로, 수로, 철도와 같이 폭이 좁고 긴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다.
- 거리와 각을 관측하여 도식해 법에 의하여 모든 점의 위치결정에 편리하다.
- 좁은 지역의 세부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을 추가 설치할 경우에 편리하다.
- 면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경계측량에 편리하다.
(2) 트래버스의 종류
- 개방 트래버스: 정도가 낮아 노선측량의 답사등에 이용(미지점 ⟶ 미지점)
- 폐합 트래버스: 한 점에서 시작하여 다시 시작점에 폐합시킨 트래버스로 소규모지역에 이용된다.
- 결합 트래버스: 기지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기지점에 결합시켜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당하다.
- 트래버스 망: 2개 이상의 트래버스를 필요에 따라 그물 모양으로 연결한 것이다.
728x90
2. 트래버스의 각 관측
(1) 각 관측값의 오차
1) 폐합트래버스
·내각 측정시의 측각 오차(△알파)
·외각 측정시의 측각 오차 ([알파]: 측정값의 합)
·편각 측정시의 측각 오차
2) 결합 트래버스
(2) 측각오차의 허용범위와 조정
1) 측각오차의 허용범위: 허용범위 이내면 등배분하고, 범위를 벗어나면 재측한다.
※땅 값이 비싸진다.
2) 측각오차의 조정: 경중률이 크면 작게 조정(믿을 만 하니깐), 작으면 크게조정(못 미더우니깐)
728x90
'토목기사 > 측량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량학] 제 6장. 기준점 측량(삼각측량의 개요/방법/응용)#3 (0) | 2019.07.08 |
---|---|
[측량학] 제 6장. 기준점 측량(트래버스의 계산/트래버스의 조정 및 면적계산) #2 (0) | 2019.07.08 |
[측량학] 제 5장. 각/트랜싯 측량(오차의 종류/오차의 거리) #2 (0) | 2019.07.07 |
[측량학] 제 5장. 각/트랜싯 측량(각 측정법/트랜싯의 조정(설치 요령)) #1 (0) | 2019.07.07 |
[측량학] 제 4장. 수준측량(간접 수준측량과 종횡단 수준측량/수준측량에 관한 일반사항(조정법,오차론)/오차와 정밀도) #2 (0) | 2019.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