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측량학

[측량학] 제 4장. 수준측량(간접 수준측량과 종횡단 수준측량/수준측량에 관한 일반사항(조정법,오차론)/오차와 정밀도) #2

카리R 2019. 7. 7.

4. 간접 수준측량과 종횡단 수준측량

 ※ 수준 측량은 수준기를 사용하여 지구표면의 두 점간이나 여러 점의 높이와 고저차를 측량하는 것으로 고저측량 또는 레벨측량이라고도 한다. 수준측량은 측량 방법에 따라 직접 수준측량, 간접 수준측량, 교호 수준측량, 약측 수준측량으로 구분된다. 직접 수준측량은 수준기를 사용해 두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차로 직접 고저차를 관측하는 것이고 간접 수준측량은 수준기 이외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교호 수준측량은 수준기를 측점 중간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고저차를 직, 간접으로 구하는 방법이고 약측 수준측량은 간단한 수준측량 기구를 이용하여 두 점 간의 표고차를 구하는 것이다.

(1) 간접 수준측량(앨리데이드)

(2) 유토곡선(=토적곡선, mass curve)

 

 5. 수준측량에 관한 일반사항(조정법, 오차론)

(1)레벨의 조정 조건

   ※ 이 조건이 가장 중요하며 이 조건이 완벽하게 만족되면 전·후시의 거리가 등거리가 아니어도 시준축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2) (말뚝)항정법(항타법): 덤피레벨의 3조정과 동일

  • 원래 값은 ‘0’이 나와야 하지만, 오차발생
  • 교호수준 측량과 비교

  • 조정=b_2의 읽음 값 - d

 

(3) 전시와 후시를 같게 하면 소거되는 오차

  •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오차가 가장 크다)의 오차(시준축오차)
  • 지구의 곡률오차(구차), 빛의 굴절오차(기차)
  • 시준거리를 같게 하면 초점나사를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그때 발생하는 오차
728x90

 

6. 오차와 정밀도

(1) 오차의 분류

   1)정오차

  • 표척의 0점 오차: 기계의 세움을 짝수회로 하면 소거
  • 광선의 굴절에 의한 오차(기차)
  • 지구의 곡률에 의한 오차(구차)
  • 표척의 기울기에 의한 오차: 표척을 전·후로 움직여 최소값을 읽는다.
  • 시준선(시준축) 오차: 기포관축과 시준선이 평행하지 않아 발생하며 가장 큰 오차. 전·후시를 등거리로 취하면 소거됨

    2)우연오차

 

(2) 직접수준측량의 오차

(K= 1km 수준측량시의 오차, L: 수준측량의 거리(km), C: 1회의 관측에 의한 오차)

 

(3) 오차의 허용범위

 

(4)오차의 조정

   1)각 기지점으로부터 미지점을 측량한 경우

    : 경중률은 노선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하여 P점의 표고를 구한다.

728x90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