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것이 힘이다.231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0장. 강구조 및 교량(용접 이음/교량)#2 3. 용접 이음 (1)용접의 장점 ·재료가 절약되고, 단면이 간단하다. ·구멍이 없으므로 단면적이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재라 하더라도 강도의 저하가 없다. ·시공 시 소음이 적다. (2)용접의 단점 ·검사가 어렵다. (용접부의 중앙을 보기 어렵)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에 약하다. ·부분적으로 가열되었다 냉각되기 때문에 잔류 응력이 남는다. ·지속적인 열에 의해 재질이 변한다. ·응력집중이 생기기 쉽다. ·숙련도에 따라 강도가 좌우된다. (3)용접 이음의 종류 1)홈 용접: 모재의 홈에 용접하는 것으로 전단면 용입과 부분 용입이 있다. 홈의 형상에 따라 I형, V형, X형, K형 등이 있다. 홈용접에서 용접부의 강도를 계산할 때, 목 두께는 모재의 두께를 사용한다. 2)필렛용접: 겹대기 이음을 하거나 ..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17.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0장. 강구조 및 교량(리벳 및 고장력 볼트 이음/압축, 인장, 휨 부재)#1 1. 리벳 및 고장력 볼트 이음 ▲리벳: 강철판 ·형강 등의 금속재료를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막대 모양의 기계요소. 강철판을 포개어 뚫려 있는 구멍에 가열한 리벳을 꽂아 넣고, 머리부분을 받친 후 기계 ·해머 등으로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한다. (1)형강 (2)리벳의 강도 1)전단 강도 ①단전단(절단면이 한 개, 겸침이음) (로우b: 리벳의 허용 전단 강도, va: 리벳의 허용 전단 응력, d: 리벳의 지름) ②복전단(절단면이 두 개, 맞댐이음) 2)지압 강도(찢어짐에 대응) (로우b: 리벳의 허용 지압 강도, fba: 리벳의 허용 지압 응력, d: 리벳의 지름, t: 얇은 판의 두께로 지압 방향을 고려하여 작은 두께를 사용함 ※리벳의 허용강도(로우)는 전단강도(로우s)와 지압강도(로우b)중에..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17.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9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PSC의 기본개념 및 분류/휨 부재의 해석)#2 3. PSC의 기본개념 및 분류 (1)응력 개념(균등질 보의 개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면 콘크리트 부재를 탄성이론으로 해석 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Freyssinet가 제안한 개념이다. 1)강재가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된 경우 2)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경우 (2)강도 개념(내력 모멘트 개념): RC와 같이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받고 인장력은 PS 강재가 받는 것으로 하여 두 힘에 의한 내력 모멘트가 외력 모멘트에 저항한다는 개념이다. (3)하중 평형 개념(등가 하중 개념):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작용과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평형이 되도록 하자는 개념이다. 1)강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경우 (4)PSC의 분류 1)완전 또는 부분 프리스트레싱 ①완전 프리스트레싱(Full-prestressing): ..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11.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9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서론 및 재료의 성질/프리스트레싱 방법 및 공법)#1 1. 서론 및 재료의 성질 (1)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의미: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한 콘크리트 부재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라고 한다. (2)PSC의 장단점 1)PSC의 장점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강재의 부식 위험이 적고 내구성이 좋다. ·과다한 하중으로 일시적인 균열이 발생해도 하중을 제거하면 다시 복원되므로 탄력성과 복원성이 우수하다. ·콘크리트의 전단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강재를 곡선배치한 경우에는 전단력이 감소되어 복부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고강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어 RC부재보다 경간을 길게 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Pre Cast)를 ..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1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4장. 전단과 비틀림(전단응력과 전단철근의 종류/전단철근의 설계(강도설계법)) 1. 전단응력과 전단철근의 종류 (1)사인장응력: 주인장응력이 보의 축과 45도 경사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인장응력이라고 하며, 전단응력 v와 같기 때문에 전단응력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지점 부근에서 사인장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보의 경우 지점 가까이의 중립축 부근에서 휨응력은 작고 전단응력은 크게 발생되어 사인장균열이 발생되며, 이런 균열을 복부전단균열이라고 한다. ※지점부분에는 전단균일이 중앙부는 휨균열이 많이 발생 (2)전단철근의 종류 1)전단철근의 형태 ①부재축에 직각인 스터럽 ②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한 용접철망 ③나선철근, 원형 띠철근, 또는 후프철근 2)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①주인장철근에 45도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경사스터럽) ②주인장철근에 30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5.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3장. 보의 휨설계(사용성 및 내구성)#3 4. 사용성 및 내구성(내구성은 잘 안나옴) ※균열보다는 처짐에서 문제가 더 잘나옴. (1)탄성처짐 :단순지지된 보에 발생하는 최대처짐(델타max) 1)집중하중(P)이 중앙에 작용할 때 2)등분포하중(w)이 경간 전체에 작용할 때 ※재료역학 참고용( 철콘에서는 탄성처짐은 주어지기 때문에 장기처짐만 잘 구해서 더하기만 하면 된다.) 3)단면2차모멘트(I) ①균열이 생기지 않았을 때는 전단면이 유효하다고 보고 총단면 2차모멘트(I_g)를 사용한다 ②인장측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단면2차모멘트는 I_g와 I_cr의 사이에 있으며, 보의 길이에 따른 단면2차모멘트의 변화를 고려하여 유효단면2차모멘트 I_e를 사용한다.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 I_cr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7. 2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3장. 보의 휨설계(복철근 직사각형 보/T형 단면보)#2 2. 복철근(압축철근) 직사각형 보 (1)개요: 보의 인장측 뿐만 아니라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치한 직사각형 보를 말한다. 단면의 크기가 제한을 받아 단철근 보로서는 휨모멘트를 견딜 수 없는 경우이거나, 정(+)과 부(-)의 모멘트를 교대로 받는 부재, 또한 부재의 처짐을 극소화시켜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복철근을 사용하는 이유 ㉠현장의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장구역에 철근을 더 추가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rho_use가 증가하여 취성파괴가 일어난다. 그래서 bd를 늘리는 방법을 생각해냈는데, 자중이 증가하므로 처짐이 많이 생기므로 이 증가분의 콘크리트를 대신해서 복철근을 넣는다. ㉡같은 상황이면 중립축이 내려오게 되는데, 연성파괴를 일으키기 힘들다. 그래서 압축측에 철근을 배근 ※복철근의 장점 : 연성..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7. 2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3장. 보의 휨설계(단철근 직사각형 보)#1 제3장. 보의 휨 설계 1. 단철근 직사각형 보 (1)개요: 보의 인장구역에만 철근이 배치된 직사각형보를 단철근 직사각형보라한다. (2)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해석 ※철근은 많이 늘어날수록 좋다.(인명피해 최소화) 1)등가응력사각형의 깊이(a) 2)공칭휨강도(M_n, 우력) 3)설계휨강도(Md) (3)균형보(=균형 변형률 상태): 인장철근이 항복강도 f_y에 상응하는 변형률(e_y)에 도달함과 동시에 압축측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하는 상태를 말한다. 1)균형보의 중립축의 위치(c_b) :균형보의 변형률도에서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 ※a=베타1*c의 c와 같다. 2)단철근 직사각형보의 균형철근비(로우_b)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를 제외하고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을 초과하지 않아..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7. 2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2장. 강도설계법의 기본개념과 환산 단면적(강도설계법)#1 ※일반적으로 휨 부재(보, 슬래브)를 다룬다. ※제 3장과 한 단원이라 생각해야 한다. 1. 강도설계법 (1)개념: 구조물이 파괴점 또는 파괴점 부근에 있다고 보고 어떠한 초과하중에 대해서도 안전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강도설계법은 최악의 상황을 고려(외력을 크게)해서 초과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설계자의 실수를 감안하여 강도감소계수로 설계강도를 줄인다. (2)기본가정(암기):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부재의 강도설계는 다음 규정된 가정에 따라야 하며, 힘의 평형조건과 변형률 적합조건으로 만족시켜야 한다. 1)철근 및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2)압축측 연단에서의 콘크리트 극한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취성재료) 3)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7. 2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장. 철근콘크리트의 기본개념(콘크리트의 성질/철근의 종류 및 성질)#2 3. 콘크리트의 성질 (1)콘크리트의 탄성계수 ▲ 콘크리트는 로마시대에 화산회(火山灰)와 석회석을 써서 만든 것이 시초라고 하나, 일반적으로는 19세기 초에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가 발명된 후 1867년 프랑스에서 철망으로 보강된 콘크리트가 만들어진 것이 최초이다. 1)할선탄성계수(시컨트탄성계수): 실험에 의해 구할 수 있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할선계수는 직선 OP의 기울기로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1,000mm 콘크리트가 3mm정도로 줄어들면 파괴됨 (2)탄성계수 1)할선탄성계수(E_c, 단면결정 및 응력계산 시 적용) ·일반식: (여기서, m_c(단위질량)는 1,450~2,500kg/m^3일 때) f_ck(MPa) 40 이하 40초과 60미..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7. 2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장. 철근콘크리트의 기본개념(철근콘크리트의 성립/콘크리트의 강도(실기))#1 1. 철근콘크리트의 성립 (1)철근콘크리트의 정의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지만 인장에는 매우 약하다. 따라서 그림과 같이 보의 인장측에 철근을 넣어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철근은 인장력을 받도록 만드는 일체식 구조(합성체)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라 한다. (2)철근콘크리트의 성립 이유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가 크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는 거의 같다. ·콘크리트 속의 철근은 부식되지 않는다. ·철근은 인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다. (3)철근콘크리트의 장점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만들 수 있다. ·복잡한 여러 조각의 구조물을 하나로 만들 수 있다. ·구조물을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 ·내구성이 좋다. ·내화성(..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7. 20. [일반기계기사/토목기사/응용역학/요점정리] 제 3장. 응력조합(단순응력/2축응력/평면응력/주응력) 1. 경사면 1축[단순]응력 2. 경사면 2축 응력 3. 경사면 평면응력 4. 주응력 -주평면이 생김 ·주평면: 최대주응력, 최소주응력이 존재하고, 전단응력이 0이 되는 면을 말한다. ·주응력 상태에서 전단응력은 0이다. 일반기계기사/고체역학 2019. 7. 17.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