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것이 힘이다.231 [토질 및 기초] 제 4장. 흙의 압축성(압밀/압밀이론)#1 1. 압밀 (1)압밀의(Consolidation) 개요 : 지반 위의 유효상재하중으로 인하여 흙 속의 간극에서의 물이 배출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압축(침하)되는 현상을 압밀이라 한다. (2)과잉공극수압 1)공극수압(=간극수압, Pore water pressure, u): 물이 받는 압력으로 중립응력(Neutral stress)이라고도 한다. 2)과잉간극수압(Excess pore water pressure, ue): 포화되어 있는 흙에 하중이 작용하면 그 외부하중으로 인하여 간극수에 작용하는 간극수압을 과잉간극수압이라 한다. 3)초기과잉간극수압(Initial excess pore water pressure, u_i): 시간 t=0일 때의 과잉간극수압, 즉 물이 배출되기 직전인 하중재하 순간의 과잉간극수압..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25. [토질 및 기초] 제 2장. 흙의 침투성과 침투(투수계수/비균질 토층의 평균투수계수/유선망(Flow net)/동상)#2 3. 투수계수 (1)투수계수 1)개요: 투수계수는 유속과 같은 차원이다. (여기서, Ds: 흙 입자의 입경(보통 D10), gamma_w: 물의 단위중량(g/cm^3), eta: 물의 점성계수(g/cm sec), e: 공극비, C: 합성 형상계수(composite shape factor), K: 투수계수(cm/sec) ①온도가 높을수록 물의 점성계수가 감소하여 투수계수는 증가한다. ②점토의 구조에 있어서 면모구조가 이산구조(분산구조)보다 투수계수가 크다. ③지반의 포화도가 클수록 투수계수가 증가한다. 2)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①간극비 ②점성계수 (2)투수계수의 결정 : 침투수량을 알기 위해서는 투수계수의 값을 알아야 한다. 투수계수 결정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실내투수시험 ①정수위 ..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22. [토질 및 기초] 제 2장. 흙의 침투성과 침투(모관현상/Darcy의 법칙)#1 1. 모관현상 (1)흙 속의 모관상승 작용 : 표면장력 때문에 물이 흙 입자의 표면을 따라 상승하는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 한다. (2)모관상승고 (여기서, T: 표면장력(g/cm), 알파: 접촉각(도), D: 모세관의 지름(cm), gamma_w: 물의 단위중량(g/cm^3) (3)표준온도(15도씨)에서의 모관상승고 1)공식: 표준온도(15도씨)에서는 표면장력 T=0.0075g/cm이고, 접촉각 알파=0도 이면 cos0도=1 이므로 ※암기법: 모세는 사탄(4T)이 다니는 코스(cos)를 알디(gamma*D). (4)흙의 종류에 따른 모관상승고(Hazen 공식) 1)공식: Hazen(1930)은 건조한 모래를 관속에 넣어 물과 접촉시킬 때의 모관상승고에 대하여 다음 식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c: 입자..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22. [토질 및 기초] 제 3장. 유효응력의 개념(유효응력의 개념/지중응력)#1 제 3장. 유효응력 1. 유효응력의 개념 (1)응력의 정의 1)전응력(Total stress, sigma): 전체 흙에 작용하는 단위면적당 법선응력 2)간극수압(=공극수압, Pore water pressure, u): 간극을 채우고 있는 물이 부담하는 응력으로 중립응력(neutral stress)이라고도 한다. 3)유효응력(Effective stress, sigma') ·흙 입자가 부담하는 응력으로 흙입자의 접촉점에서 발생하는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유효응력이라 한다. ·지반 내에서 흙의 파괴, 체적변화(침하), 강도를 지배한다. 4)토압계수(K) 2. 모관영역의 유효응력(제 2장. 1. 모관현상 먼저 보고 올것) (1)모관포텐셜(Capillary potential) 1)개요 ①흙 속에서 모관수를 지..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16. [토질 및 기초] 제 1장.흙의 기본적 성질과 분류(흙의 입도분석)#3 6. 흙의 입도분석 (1)흙의 입도: 흙의 입도란 크고 작은 흙입자의 분포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입도분포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체분석법(Sieve analysis)과 비중계 분석법(Hydrometer analysis)이 있으며 흙의 입도분석에 의한 결과를 이용하여 입경가적곡선을 작도한다. ※표준체의 눈금 크기 체 번호 체 눈금크기(mm) No. 4 4.750 No. 10 2.000 No. 20 0.850 No. 40 0.425 No. 60 0.250 No. 100 0.150 No. 140 0.106 No. 200 0.075 Pan x (2)세립분 체가름 분석(Sieve analysis) 1)개요: 비중계 시험이 끝난 시료는 No.200체(0.075mm) 위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잔류 시료를 노건조하여 No...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5. [토질 및 기초] 제 1장.흙의 기본적 성질과 분류(흙의 연경도/연경도에서 구하는 지수/활성도(Activity)와 점토광물)#2 3. 흙의 연경도 (1)연경도의 개요: 점착성이 있는 흙은 함수량이 점점 감소함에 따라 액성, 소성, 반고체, 고체의 상태로 변화하는데 함수량에 의하여 나타나는 이러한 성질을 흙의 연경도(Consistency)라 한다. 흙의 점성, 소성은 점토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흡착수와 관련이 있다. (2)아터버그(Atterberg)한계 1)종류 ①액성한계(Liquid limit, w_l) ②소성한계(Plastic limit, w_p) ③수축한계(Shrinkage limit, w_s) (3)수축한계(Shrinkage limit, ws) 1)수축한계 2)수축비(Shrinkage ratio, R) ①개요: 수축한계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체적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함수비의 변화와의 비를 말한다. ②공식 (여기서, W_s: ..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4. [토질 및 기초] 제 1장.흙의 기본적 성질과 분류(흙의 입자구성)#1 1. 흙의 입자구성 ▲흙은 지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바위가 부스러져 생긴 가루인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섞여 이루어진 물질을 말합니다. (1)흙의 각 성분의 상관관계 (2)공극비(Void ratiro, e) 1)개요: 흙 입자만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비를 나타낸다. 2)단위: 무차원 3)공극비의 범위는 0에서 무한대사이이다. (3)공극률(Porosity, n) 1)개요: 흙 전체의 체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2)단위: % 3)공극률의 범위는 0에서 100% 사이이다. (4)공극비와 공극률의 상호 관계식 (5)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S) 1)개요: 공극 속에 물이 차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2)단위: % 3)포화도의 범위는 0에서 100% 사이이다.. 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2019. 9. 2.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8장. 확대기초와 옹벽(확대기초/옹벽)#1 1. 확대기초 (1)확대기초의 정의: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넓은 면적에 분포시켜 지반의 허용지지력 이내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확대기초라고 한다. (2)확대기초의 종류 1)독립 확대기초: 1개의 기둥을 지지하도록 한 기초 2)연결 확대기초: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확대기초가 지지하도록 한 것 3)벽의 확대기초: 벽을 지지하기 위한 확대기초 4)전면기초: 지반이 비교적 약할 때 전면적으로 하나의 판으로 만들어 모든 기둥을 지지하도록 한 기초 5)캔틸레버 확대기초: 2개의 독립 확대기초를 하나의 보로 연결한 기초 (3)설계 일반 1)기초판은 계수하중과 그에 의해 발생되는 반력에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기초판의 밑면적, 말뚝의 개수와 ..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27.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7장. 슬래브(서론 및 1방향 슬래브(강도설계법)/2방향 슬래브)#1 1. 서론 및 1방향 슬래브(강도설계법) (1)슬래브의 정의: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은 판 모양의 구조물로 판이론에 의해 설계해야 하나 너무 복잡하여 근사적인 방법으로 해석한다. (2)슬래브의 종류 1)1방향 슬래브(One-way slab): 서로 마주보는 2변으로 지지된 직사각형 슬래브, L/S>2일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2)2방향 슬래브(Two-way slab): 네 변이 지지된 슬래브로서 1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26.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6장. 기둥(서론 및 제한사항/기둥의 설계)#1 1. 서론 및 제한사항 (1)기둥의 정의 :축방향 압축을 받는 부재를 압축부재(Compression member) 또는 기둥(Column)이라 한다. 구조기준에서는 높이가 단면최소치수의 3배 이상인 압축부재를 기둥이라고 한다. (2)기둥의 종류 1)띠철근 기둥(Tied column): 사각형 단면에 주로 쓰이며, 축방향 철근을 적당한 간격의 띠철근으로 감은 기둥이다. 2)나선철근 기둥(Spiral cloumn): 원형단면에 주로 쓰이며, 축방향 철근을 연속된 나선철근으로 둘러싼 기둥이다. 3)합성 기둥: 구조용 강재나 강관 또는 튜브를 축방향으로 배치한 압축부재를 말하며, 이때 축방향 철근은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좌굴방지, 위치고정, 전단보강, 피복유지 (3)띠철근 기둥의 제한..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25.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5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철근의 정착)#2 2. 철근의 정착 (1)부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클수록 부착강도가 크다. ·이형철근은 표면의 마디와 리브로 인해 원형철근 보다 부착강도가 크며, 약간 녹이 슨 철근의 부착강도가 크다. ·같은 양의 철근을 배근할 때 철근의 지름이 큰 것보다는 가는 직경의 철근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피복두께가 클수록 부착강도가 좋아진다. ·블리딩의 영향으로 연직철근이 수평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며 수평철근 중에서도 하부철근이 상부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다. (2)이론상 정착길이: 철근의 한 쪽 끝에 T=fyAs 만큼의 인장력을 가할 때 철근은 인장력으로 항복하지만 콘크리트에서 뽑혀 나오지 않아야 한다. 이때의 묻힘길이를 이론상 정착길이(l)라 한다. (타우: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응력,..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1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5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철근 상세)#1 1. 철근 상세 (1)철근의 간격 1)휨부재(보) ①주철근을 2단 이상으로 배근할 때 ·상하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두어야 하며 ·연직 순간격은 25mm 이상이어야 한다. ②주철근의 수평 순간격 ·25mm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 2)압축부재(기둥) ①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 ·40mm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기사(기둥40) 공부하다보니 자격증이 보이오(보25). (2)다발철근 ·보에서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 ·철근의 개수는 2개이상, 4개 이하로 묶어야 한다.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휨부재의 경간 내에서 끝나는 한 다발철근 내의 개개 철근은 철근 지름의 40배 .. 토목기사/철큰콘크리트 및 강구조 2019. 8. 1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