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3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7장. 슬래브(서론 및 1방향 슬래브(강도설계법)/2방향 슬래브)#1 1. 서론 및 1방향 슬래브(강도설계법) (1)슬래브의 정의: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은 판 모양의 구조물로 판이론에 의해 설계해야 하나 너무 복잡하여 근사적인 방법으로 해석한다. (2)슬래브의 종류 1)1방향 슬래브(One-way slab): 서로 마주보는 2변으로 지지된 직사각형 슬래브, L/S>2일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2)2방향 슬래브(Two-way slab): 네 변이 지지된 슬래브로서 1 2019. 8. 26.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6장. 기둥(서론 및 제한사항/기둥의 설계)#1 1. 서론 및 제한사항 (1)기둥의 정의 :축방향 압축을 받는 부재를 압축부재(Compression member) 또는 기둥(Column)이라 한다. 구조기준에서는 높이가 단면최소치수의 3배 이상인 압축부재를 기둥이라고 한다. (2)기둥의 종류 1)띠철근 기둥(Tied column): 사각형 단면에 주로 쓰이며, 축방향 철근을 적당한 간격의 띠철근으로 감은 기둥이다. 2)나선철근 기둥(Spiral cloumn): 원형단면에 주로 쓰이며, 축방향 철근을 연속된 나선철근으로 둘러싼 기둥이다. 3)합성 기둥: 구조용 강재나 강관 또는 튜브를 축방향으로 배치한 압축부재를 말하며, 이때 축방향 철근은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좌굴방지, 위치고정, 전단보강, 피복유지 (3)띠철근 기둥의 제한.. 2019. 8. 25.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5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철근의 정착)#2 2. 철근의 정착 (1)부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클수록 부착강도가 크다. ·이형철근은 표면의 마디와 리브로 인해 원형철근 보다 부착강도가 크며, 약간 녹이 슨 철근의 부착강도가 크다. ·같은 양의 철근을 배근할 때 철근의 지름이 큰 것보다는 가는 직경의 철근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피복두께가 클수록 부착강도가 좋아진다. ·블리딩의 영향으로 연직철근이 수평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며 수평철근 중에서도 하부철근이 상부철근보다 부착강도가 크다. (2)이론상 정착길이: 철근의 한 쪽 끝에 T=fyAs 만큼의 인장력을 가할 때 철근은 인장력으로 항복하지만 콘크리트에서 뽑혀 나오지 않아야 한다. 이때의 묻힘길이를 이론상 정착길이(l)라 한다. (타우: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응력,.. 2019. 8. 1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5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철근 상세)#1 1. 철근 상세 (1)철근의 간격 1)휨부재(보) ①주철근을 2단 이상으로 배근할 때 ·상하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두어야 하며 ·연직 순간격은 25mm 이상이어야 한다. ②주철근의 수평 순간격 ·25mm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 2)압축부재(기둥) ①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 ·40mm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기사(기둥40) 공부하다보니 자격증이 보이오(보25). (2)다발철근 ·보에서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 ·철근의 개수는 2개이상, 4개 이하로 묶어야 한다.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휨부재의 경간 내에서 끝나는 한 다발철근 내의 개개 철근은 철근 지름의 40배 .. 2019. 8. 1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0장. 강구조 및 교량(용접 이음/교량)#2 3. 용접 이음 (1)용접의 장점 ·재료가 절약되고, 단면이 간단하다. ·구멍이 없으므로 단면적이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재라 하더라도 강도의 저하가 없다. ·시공 시 소음이 적다. (2)용접의 단점 ·검사가 어렵다. (용접부의 중앙을 보기 어렵)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에 약하다. ·부분적으로 가열되었다 냉각되기 때문에 잔류 응력이 남는다. ·지속적인 열에 의해 재질이 변한다. ·응력집중이 생기기 쉽다. ·숙련도에 따라 강도가 좌우된다. (3)용접 이음의 종류 1)홈 용접: 모재의 홈에 용접하는 것으로 전단면 용입과 부분 용입이 있다. 홈의 형상에 따라 I형, V형, X형, K형 등이 있다. 홈용접에서 용접부의 강도를 계산할 때, 목 두께는 모재의 두께를 사용한다. 2)필렛용접: 겹대기 이음을 하거나 .. 2019. 8. 17.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0장. 강구조 및 교량(리벳 및 고장력 볼트 이음/압축, 인장, 휨 부재)#1 1. 리벳 및 고장력 볼트 이음 ▲리벳: 강철판 ·형강 등의 금속재료를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막대 모양의 기계요소. 강철판을 포개어 뚫려 있는 구멍에 가열한 리벳을 꽂아 넣고, 머리부분을 받친 후 기계 ·해머 등으로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한다. (1)형강 (2)리벳의 강도 1)전단 강도 ①단전단(절단면이 한 개, 겸침이음) (로우b: 리벳의 허용 전단 강도, va: 리벳의 허용 전단 응력, d: 리벳의 지름) ②복전단(절단면이 두 개, 맞댐이음) 2)지압 강도(찢어짐에 대응) (로우b: 리벳의 허용 지압 강도, fba: 리벳의 허용 지압 응력, d: 리벳의 지름, t: 얇은 판의 두께로 지압 방향을 고려하여 작은 두께를 사용함 ※리벳의 허용강도(로우)는 전단강도(로우s)와 지압강도(로우b)중에.. 2019. 8. 17.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9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PSC의 기본개념 및 분류/휨 부재의 해석)#2 3. PSC의 기본개념 및 분류 (1)응력 개념(균등질 보의 개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면 콘크리트 부재를 탄성이론으로 해석 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Freyssinet가 제안한 개념이다. 1)강재가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된 경우 2)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경우 (2)강도 개념(내력 모멘트 개념): RC와 같이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받고 인장력은 PS 강재가 받는 것으로 하여 두 힘에 의한 내력 모멘트가 외력 모멘트에 저항한다는 개념이다. (3)하중 평형 개념(등가 하중 개념):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작용과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평형이 되도록 하자는 개념이다. 1)강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경우 (4)PSC의 분류 1)완전 또는 부분 프리스트레싱 ①완전 프리스트레싱(Full-prestressing): .. 2019. 8. 11.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9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서론 및 재료의 성질/프리스트레싱 방법 및 공법)#1 1. 서론 및 재료의 성질 (1)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의미: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한 콘크리트 부재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라고 한다. (2)PSC의 장단점 1)PSC의 장점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강재의 부식 위험이 적고 내구성이 좋다. ·과다한 하중으로 일시적인 균열이 발생해도 하중을 제거하면 다시 복원되므로 탄력성과 복원성이 우수하다. ·콘크리트의 전단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강재를 곡선배치한 경우에는 전단력이 감소되어 복부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고강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어 RC부재보다 경간을 길게 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Pre Cast)를 .. 2019. 8. 1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4장. 전단과 비틀림(전단응력과 전단철근의 종류/전단철근의 설계(강도설계법)) 1. 전단응력과 전단철근의 종류 (1)사인장응력: 주인장응력이 보의 축과 45도 경사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인장응력이라고 하며, 전단응력 v와 같기 때문에 전단응력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지점 부근에서 사인장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보의 경우 지점 가까이의 중립축 부근에서 휨응력은 작고 전단응력은 크게 발생되어 사인장균열이 발생되며, 이런 균열을 복부전단균열이라고 한다. ※지점부분에는 전단균일이 중앙부는 휨균열이 많이 발생 (2)전단철근의 종류 1)전단철근의 형태 ①부재축에 직각인 스터럽 ②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한 용접철망 ③나선철근, 원형 띠철근, 또는 후프철근 2)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①주인장철근에 45도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경사스터럽) ②주인장철근에 30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 2019. 8. 5.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3장. 보의 휨설계(사용성 및 내구성)#3 4. 사용성 및 내구성(내구성은 잘 안나옴) ※균열보다는 처짐에서 문제가 더 잘나옴. (1)탄성처짐 :단순지지된 보에 발생하는 최대처짐(델타max) 1)집중하중(P)이 중앙에 작용할 때 2)등분포하중(w)이 경간 전체에 작용할 때 ※재료역학 참고용( 철콘에서는 탄성처짐은 주어지기 때문에 장기처짐만 잘 구해서 더하기만 하면 된다.) 3)단면2차모멘트(I) ①균열이 생기지 않았을 때는 전단면이 유효하다고 보고 총단면 2차모멘트(I_g)를 사용한다 ②인장측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단면2차모멘트는 I_g와 I_cr의 사이에 있으며, 보의 길이에 따른 단면2차모멘트의 변화를 고려하여 유효단면2차모멘트 I_e를 사용한다. ※단면2차모멘트의 크기: I_cr 2019. 7. 2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3장. 보의 휨설계(복철근 직사각형 보/T형 단면보)#2 2. 복철근(압축철근) 직사각형 보 (1)개요: 보의 인장측 뿐만 아니라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치한 직사각형 보를 말한다. 단면의 크기가 제한을 받아 단철근 보로서는 휨모멘트를 견딜 수 없는 경우이거나, 정(+)과 부(-)의 모멘트를 교대로 받는 부재, 또한 부재의 처짐을 극소화시켜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복철근을 사용하는 이유 ㉠현장의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장구역에 철근을 더 추가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rho_use가 증가하여 취성파괴가 일어난다. 그래서 bd를 늘리는 방법을 생각해냈는데, 자중이 증가하므로 처짐이 많이 생기므로 이 증가분의 콘크리트를 대신해서 복철근을 넣는다. ㉡같은 상황이면 중립축이 내려오게 되는데, 연성파괴를 일으키기 힘들다. 그래서 압축측에 철근을 배근 ※복철근의 장점 : 연성.. 2019. 7. 28.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3장. 보의 휨설계(단철근 직사각형 보)#1 제3장. 보의 휨 설계 1. 단철근 직사각형 보 (1)개요: 보의 인장구역에만 철근이 배치된 직사각형보를 단철근 직사각형보라한다. (2)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해석 ※철근은 많이 늘어날수록 좋다.(인명피해 최소화) 1)등가응력사각형의 깊이(a) 2)공칭휨강도(M_n, 우력) 3)설계휨강도(Md) (3)균형보(=균형 변형률 상태): 인장철근이 항복강도 f_y에 상응하는 변형률(e_y)에 도달함과 동시에 압축측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하는 상태를 말한다. 1)균형보의 중립축의 위치(c_b) :균형보의 변형률도에서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 ※a=베타1*c의 c와 같다. 2)단철근 직사각형보의 균형철근비(로우_b)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를 제외하고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을 초과하지 않아.. 2019. 7. 2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2장. 강도설계법의 기본개념과 환산 단면적(강도설계법)#1 ※일반적으로 휨 부재(보, 슬래브)를 다룬다. ※제 3장과 한 단원이라 생각해야 한다. 1. 강도설계법 (1)개념: 구조물이 파괴점 또는 파괴점 부근에 있다고 보고 어떠한 초과하중에 대해서도 안전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강도설계법은 최악의 상황을 고려(외력을 크게)해서 초과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설계자의 실수를 감안하여 강도감소계수로 설계강도를 줄인다. (2)기본가정(암기):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부재의 강도설계는 다음 규정된 가정에 따라야 하며, 힘의 평형조건과 변형률 적합조건으로 만족시켜야 한다. 1)철근 및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2)압축측 연단에서의 콘크리트 극한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취성재료) 3)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 2019. 7. 2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장. 철근콘크리트의 기본개념(콘크리트의 성질/철근의 종류 및 성질)#2 3. 콘크리트의 성질 (1)콘크리트의 탄성계수 ▲ 콘크리트는 로마시대에 화산회(火山灰)와 석회석을 써서 만든 것이 시초라고 하나, 일반적으로는 19세기 초에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가 발명된 후 1867년 프랑스에서 철망으로 보강된 콘크리트가 만들어진 것이 최초이다. 1)할선탄성계수(시컨트탄성계수): 실험에 의해 구할 수 있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할선계수는 직선 OP의 기울기로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1,000mm 콘크리트가 3mm정도로 줄어들면 파괴됨 (2)탄성계수 1)할선탄성계수(E_c, 단면결정 및 응력계산 시 적용) ·일반식: (여기서, m_c(단위질량)는 1,450~2,500kg/m^3일 때) f_ck(MPa) 40 이하 40초과 60미.. 2019. 7. 20.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 제 1장. 철근콘크리트의 기본개념(철근콘크리트의 성립/콘크리트의 강도(실기))#1 1. 철근콘크리트의 성립 (1)철근콘크리트의 정의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지만 인장에는 매우 약하다. 따라서 그림과 같이 보의 인장측에 철근을 넣어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철근은 인장력을 받도록 만드는 일체식 구조(합성체)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라 한다. (2)철근콘크리트의 성립 이유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가 크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는 거의 같다. ·콘크리트 속의 철근은 부식되지 않는다. ·철근은 인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다. (3)철근콘크리트의 장점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만들 수 있다. ·복잡한 여러 조각의 구조물을 하나로 만들 수 있다. ·구조물을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 ·내구성이 좋다. ·내화성(.. 2019. 7. 20.
[일반기계기사/토목기사/응용역학/요점정리] 제 3장. 응력조합(단순응력/2축응력/평면응력/주응력) 1. 경사면 1축[단순]응력 2. 경사면 2축 응력 3. 경사면 평면응력 4. 주응력 -주평면이 생김 ·주평면: 최대주응력, 최소주응력이 존재하고, 전단응력이 0이 되는 면을 말한다. ·주응력 상태에서 전단응력은 0이다. 2019. 7. 17.
[일반기계기사/토목기사/응용역학/요점정리] 제 2장. 재료정역학(자중을 고려한 응력과 변형량/ 열응력/압력을 받는 얇은 용기/탄성에너지) 제2장. 재료정역학 1. 조합 단면의 응력[병렬] 2. 자중을 고려한 응력과 변형량 3. 열응력 4. 압력을 받는 얇은 용기 (1)원기둥 ☞축방향으로 2배 강도로 용접해야함, 보통 후프로 계산 (2)구 5. 탄성에너지 (1)축하중 (2)모멘트 2019. 7. 16.
[일반기계기사/토목기사/응용역학/요점정리] 제 1장. 하중(하중/응력/변형률/후크의 법칙/프와송비/체적변형률/단면적 변화/우력)#1 제1장. 하중 1. 개요: 여러 가지 형태의 하중을 받는 고체의 거동 (1)고체[Solid Material] (2)하중[Load] 1)작용방식에 따라 2. 하중·응력·변형률 (1)응력 ·수직: 가상 단면적에 수직 ·전단: 가상 단면적에 수평(전단응력에 의한) ☞P의 일종, 내력의 크기, 눈으로 관측o(광탄성), 내력=외력(Newton의 제 3법칙-작용·반작용) · 크리프: 시간이 지나면 변형 · 스테리시스: 하중이 변하면 경로가 변함 3. 후크의 법칙[탄성영역] 4. 프와송비[材에 따라 다름] 5. 체적변형률 (1)이방성일 경우 ☞항상 양수x (2)등방성일 경우 6. 단면적변화: 7. 우력모멘트 2019. 7. 15.
[측량학] 제 11장. 사진측량(입체시/ 판독과 정밀도/ 사진지도 및 원격탐측)#3 7. 입체시 (1)입체시 또는 정입체시 :어떤 대상물을 찍은 중복사진을 명시거리(약 25m정도)에서 왼쪽사진⟶왼쪽눈, 오른쪽 사진⟶오른눈으로 보면 좌우의 상이 하나로 융합되면서 입체감을 얻는 현상 (2)역입체시 : 입체시 과정에서 높은 것이 낮게, 낮은 것이 높게 보이는 형상으로 다음 2가지 원인이 있다. ·정입체시되는 한쌍의 사진에서 좌우사진을 바꾸어 입체시하는 경우 ·정상적인 여색입체시 과정에서 색안경의 적색과 청색을 바꾸어 볼 경우 (3)입체사진의 조건 ·1쌍의 사진을 촬영한 카메라의 광축은 거의 동일 평면내에 있어야 한다. ·기선고도비 B/H가 적당한 값(약 0.25)이어야 하며 사진측량에서는 대략 1/40~20이다. ·2매의 사진축척은 거의 같아야 하며 최대 15%의 축척 차까지 입체시되나 장시.. 2019. 7. 15.
[측량학] 제 11장. 사진측량(사진의 위치결정/촬영계획과 사진매수/촬영)#2 4. 사진의 위치 결정 (1)기복변위(편위) :지표면에 기복이 있을 경우연직 사진으로 촬영해도 사진 축척은 동일하지 않으며 사진에 찍힌 상과 실제 지형과는 변위가 생기는데 이를 기복변위라 한다. (2)최대변위 :사진상에서 최대변위는 r의 값이 최대가 되는 곳에서 발생한다. (3)시차에 의한 고저측량 5. 촬영계획과 사진매수 (1)촬영 코스 1)직선 코스는 동서 방향을 원칙으로 하고, 코스의 길이는 중축척일 경우 30km를 한도로 한다. 2)종중복(촬영 진행방향의 중복)은 입체시를 고려하여 60%, 횡중복은 30%를 표준으로 한다. 3)산악지역이나 고층빌딩이 밀집된 지역은 사각부를 없애기 위해 중복도를 10~20% 증가시킨다. 4)도로, 하천과 같은 선형물체는 그 방향에 따라 촬영한다.(동서로 측량하는 것.. 2019.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