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지반공학24 [지반공학]제 4장 얕은기초(직접(얕은)기초) #2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접기초(얕은기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얕은기초는 뿌리 내림이 얕아, 작용하중에 대해 지반이 주로 저항하며 측면지반의 지반 반력에 의한 저항을 고려하지 않은 기초로 테르자기(terzaghi)의 지지력 이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를 말합니다. 제 4장 얕은기초에 대한 포스팅은 2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중에서 두 번째인 이번 포스팅이 핵심중에 핵심입니다. Terzaghi, Meyer의 지지력 공식을 꼭 암기하시기 바랍니다. 그것들을 기본으로 하여 지하수위를 고려하며 편심을 고려하는 것은 응용문제입니다. 과년도에서 직접적으로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제 1장~ 제 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3. 3. [지반공학]제 4장 얕은기초(기초공) #1 이번 포스팅에서는 얕은기초(직접기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얕은기초는 뿌리 내림이 얕아, 작용하중을 지반이 주로 저항하며 측면지반의 지반 반력에 의한 저항을 고려하지 않은 기초로 테르자기의 지지력 이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를 말한다. 제 4장 얕은기초에 대한 포스팅은 2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 중에서 첫번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얕은기초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전반적인 지식을 쌓는 시간으로서 과년도에서 직접적으로 출제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기초공 1. 기초의 구분 : 상부구조에서 오는 하중을 지반에 전하는 부분을 총칭하여(Foundation)라하며 기초는 직접기초..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26. [지반공학]제 3장 토질공(흙의 전단강도/사면의 안정) #4 이번 포스팅에서는 흙의 전단강도와 사면의 안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흙의 전단강도는 기본공식을 암기하면 어려움이 없겠지만, 응력경로에서의 공식이 등장합니다. 암기법을 적었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사면의 안정 너무 중요합니다. 먼저 시험에 나오지 않지만, 무한사면에서의 흙의 무게와 수직응력, 전단응력을 구하는 방법을 익히면 나머지 응용되는 부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제 3장 토질공에 대한 포스팅은 4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중에서 네 번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면의 안정이 대단히 중요하겠습니다. 무한사면에서의 공식들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공식이 변화되는지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년도에서 직접적으로 출제됩니다. 소문제로 나누어 출제될만큼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25. [지반공학]제 3장 토질공(흙의 압축성) #3 이번 포스팅에서는 흙의 압축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흙의 압축성은 토질 및 기초에서 흙의 기본적 성질과 비슷하게 기본적이지만, 아주아주 중요한 공식들이 있습니다. 암기법을 적어놓았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3장 토질공에 대한 포스팅은 3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중에서 세 번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압밀, 압밀이론, 압밀시험, 압밀시간 및 압밀침하량으로 나누어 지는데 압밀이론에서 압밀도와 압밀시간 및 압밀 침하량을 중심으로 많은 문제가 출제되므로 충분히 준비하야합니다. 과년도에서 여러항목으로 나누어 출제도 될만큼 배점도 높습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흙의 압축성 1. 압밀시험결과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24. [지반공학]제 3장 토질공(흙의 다짐/지반내의 응력) #2 이번 포스팅에서는 흙의 다짐과 지반내의 응력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흙의 다짐은 다짐시험의 종류를 기억합시다. 그 중에서도 모래치환법은 따로 출제가 많이 되니 관련 계산 문제도 풀어보셔야 합니다. 글상자에 푸는 순서를 적어 놓았으니 푸는 순서만 헷갈리지 않는다면 틀리지 않을 거라 믿습니다. 지반내의 응력의 경우 Z가 분자인지 R이 분자인지 헷갈리는데 아래 글상자에 헷갈리지 않는 저만의 방법을 적었습니다. 제 3장 토질공에 대한 포스팅은 4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 중에서 두 번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하의 유효응력을 이해하고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년도에서 직접적으로 출제되고 있으니 필기에서 공부했다면 복습을 꼭 하셔야 겠습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23. [지반공학]제 3장 토질공(흙의 기본적 성질/흙의 투수성) #1 이번 포스팅에서는 흙의 기본적 성질과 흙의 투수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흙의 기본적 성질은 토질 및 기초 과목의 기본이 되는 이론으로 유효응력, 흙의 압축성, 흙의 전단강도, 사면의 안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기본 초석이되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흙의 투수성은 흙의 투수성과 유선망에서 출제빈도가 높으므로 내용을 정리해야 합니다. 제 3장 토질공에 대한 포스팅은 4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중에서 첫 번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토질 및 기초 과목의 기본이 되는 공극비, 공극률 등의 기본이 되는 것들을 배울 것입니다. 너무 많아 힘들다면 암기법을 써놨으니 참고하시길바라며 과년도에서 기본적인 내용이라고해서 출제가 안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모래치환법등에서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22. [지반공학]제 2장 연약지반(지하수위 저하공법/토목섬유)#3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하수위 저하공법과 토목섬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연약지반은 건조물의 기초 지반으로서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을 말합니다. 제 2장 연약지반에 대한 포스팅은 3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과년도에서 지하수위 저하공법의 종류와 토목섬유의 종류에 대해 쓰라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암기법을 적어놓았고, 각 종류의 설명을 참고하여 연상한다면 암기하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지하수위 저하공법 1. 지하수위 저하공법의 분류 마찬가지로 이전글 제 2장 #1의 표를 외우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2021/02/17 - [토목기사-산업기사] - [지반공학]제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19. [지반공학]제 2장 연약지반(점성토지반 개량방법/사질토지반 개량공법/주입 및 고결공법)#2 이번 포스팅에서는 점성토지반 개량방법과 사질토지반의 개량공법 그리고 주입 및 고결공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연약지반은 건조물의 기초 지반으로서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을 말하며 이번 단원에서는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과년도에서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의 종류를 묻는 문제가 종종 출제되니 암기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암기법이 없습니다. 단순히 설명을 참고하여 연상하며 암기하면 도움이 됩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점성토지반 개량공법 이전글에서 연약지반의 개량공법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종류에 대한 표가 상당히 중요하며 암기를 해야하는데, 이번 단원은 각각의 공법들을 ..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18. [지반공학]제 2장 연약지반(연약지반/Vertical drain 공법)#1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약지반과 Vertical drain 공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연약지반는 건조물의 기초 지반으로서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을 말하며, Vertical drain은 연직배수 공법이라고도 하며, Sand drain 공법, Paper drain 공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Plastic boaed drain)등이 있다. 지반내의 물을 빼내어 연약지반 개량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장 연약지반에 대한 포스팅은 3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그 중에서 첫 번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약지반의 개량공법과 드레인의 종류 및 계산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년도에서 직접적으로 출제되고 있으므로 암기에 신경써야합니다. 헷갈리는 공식은 암기하는 방법을 소개 뒀으니 도움이..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17. [지반공학]제 1장 지반조사(토질조사)#3 이번 포스팅에서는 토질조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제 1장 지반조사에 대한 포스팅은 3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년도에서 사운딩의 종류와 표준관입시험 그리고 횡방향 지반반력계수 측정방법에 대해서 출제된적 있습니다. Scale effect 문제는 소문제로 나누어 출제될 만큼 배점이 높은 문제가 출제되니 꼭 암기하셔야 합니다. 암기법을 적어 놓았으니 암기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토질조사 1. 사운딩(Sounding) : 로드(Rod)의 끝에 설치한 저항체를 땅속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토층의 성질과 상태를 탐사 한 번 생각해..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16. [지반공학]제 1장 지반조사(암반조사)#2 이번 포스팅에서는 암반조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제 1장 지반조사에 대한 포스팅은 3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년도에서 불연속면의 종류와 암반의 공학적분류, 초기응력 측정방법, Q-System이 출제된적 있습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암반조사 1. 암반 (1)암반의 불연속면 : 균열 없는 견고한 암석과 비교하여 특성에 차이가 나는 면 또는 부분들을 총칭하며, 절리, 층리, 벽개, 단층, 파쇄대 등을 포함한다. 절리(Joint): 암반 자체의 수축과 외력에 의하여 암반에 나타나는 불연속면으로서 틈이 밀착되어 있고 상대적인 변위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층리(Beddin..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15. [지반공학]제 1장 지반조사(지반조사)#1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반조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합니다. 지반조사는 지반을 구성하는 지층이나 토층의 층서, 지하수의 상태, 각층의 토질 등을 밝혀 구조물의 설계 · 시공의 기초적인 자료를 구하는 조사를 말합니다. 제 1장 지반조사에 대한 포스팅은 3개의 파트로 나누어 올릴 예정인데요. 과년도에서 유기질토의 특성이나 교란시료인지 불교란 시료인지 판단하는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제 1장~6장까지는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는데 7장부터는 암기위주의 내용이 나오니 조금만 더 화이팅합시다. 이 글을 보고 계시다면, 토목기사 필기시험에 합격하셨거나, 합격을 예상하신 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단히 축하드리고, 앞으로 제가 포스팅 할 내용은 저도 전문가가 아니며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주시면 감사하겠습.. 토목기사/지반공학 2021. 2. 14. 이전 1 2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