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등고선의 종류와 성질
▲등고선: 지도에서 해발고도가 같은 지점을 연결하여 각 지점의 높이와 지형의 기복을 나타내는 곡선. 전통적인 지도의 가장 큰 단점은 2차원으로서 해당 지점의 높이를 표현할 수 없다는 점이다.
(1)등고선의 종류와 간격
종류 |
기호 |
1/10,000 |
1/25,000 |
1/50,000 |
주곡선 |
가는실선 |
5 |
10 |
20 |
간곡선 |
가는긴파선 |
2.5 |
5 |
10 |
조곡선 |
가는파선 |
1.25 |
2.5 |
5 |
계곡선 |
굵은 실선 |
25 |
50 |
100 |
(2)등고선의 성질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같다.
·한 등고선은 반드시 도면 안이나 밖에서 폐합되며, 도중에서 없어지지 않는다.
·등고선이 도면 안에서 폐합되면 산정이나 오목지가 된다. 오목지의 경우 대개는 물이 있으나, 없는 경우 낮은 방향으로 화살표시를 한다.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는 교차하지 않는다.
·경사가 일정한 곳에서는 평면상 등고선의 거리가 같고, 같은 경사의 평면일 때에는 평행한 선이 된다.
5. 등고선의 측정 및 오차
(1)등고선을 그리는 방법(간접수준측량과 같다.)
(2)지형도의 이용
728x90
반응형
'토목기사 > 측량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량학] 제 8장. 면적 및 체적측량(체적계산법)#2 (1) | 2019.07.10 |
---|---|
[측량학] 제 8장. 면적 및 체적측량(직선으로 둘러싸인 면적계산)#1 (0) | 2019.07.10 |
[측량학] 제 7장. GSIS 및 지형측량(GISI 및 지형측량/GSIS의 자료해석/지형측량의 개요)#1 (0) | 2019.07.09 |
[측량학] 제 6장. 기준점 측량(삼각측량의 개요/방법/응용)#3 (0) | 2019.07.08 |
[측량학] 제 6장. 기준점 측량(트래버스의 계산/트래버스의 조정 및 면적계산)#2 (0) | 2019.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