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측량학

[측량학] 제 9장. 노선측량(개요 및 단곡선 공식/곡선설치법) #1

카리R 2019. 7. 12.

1. 노선측량의 개요 및 단곡선 공식

(1) 노선측량의 정의

: 노선측량이란 도로, 철도, 관로, 갱도, 수로등 노선상에 여러 구조물을 계획, 설계 및 시공을 목적으로 하여 시행하는 측량이다.

 

(2)곡선 설치

   1)중심말뚝의 간격 20m

   2)곡선의 종류

    ①수평곡선

  • 원곡선: 단곡선, 복심곡선, 반향곡선, 배향곡선
  • 완화곡선: 니스케이트(하철), 로소이드(속도로), 3차 포물선(도), 파장 sin 체감곡선(속철도)

암기법: 고든 램지(램지)의 / 삼촌(3철)은 / 큰 고추(클고) / 가지고, 반신욕(반신고)

    ②수직곡선

  • 종단곡선: 2차포물선(도로), 원곡선(철도)
  • 횡단곡선

 

(3) 단곡선의 기본공식

   1) 단곡선의 명칭

 

   2)단곡선의 기본공식

728x90

 

2. 곡선설치법

(1) 편각 설치법

   1)편각법은 정밀도가 가장 높아 많이 이용된다.

  • 시단점 거리(): B.C에서 다음 말뚝까지의 거리
  • 종단점 거리(): 마지막 말뚝에서 E.C까지의 거리

 

(2) 중앙 종거법(특징)

: 곡선길이가 작고 편각법등으로 이미 설치된 중심말뚝 사이에 다시 세밀하게 설치하는 방법, 기준 도로의 수정, 점검 확정할 때 사용

    ※대략 1/4씩 줄어들어 1/4법이라고도 한다.

(3) 지거법(특징): 편각법으로 설치하기 곤란한 곳에 사용하며 삼림등에서 벌채량을 줄일 수 있다.

(4) 종횡거법: 트랜싯 없이도 줄자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

 

 

728x90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