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CS

[직업기초능력평가_수리능력]공기업 NCS 모듈형 워크북 요약정리 #1

by 카리R 2021. 4. 6.

 모듈형 NCS 전체 10개 능력 중 3번째인 수리능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념정리와 기초연산능력 그리고 기초통계능력에 대해 배우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짬나는 시간에 휴대폰으로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NCS 공부를 시작할때, 가장 처음해야 하는 것은 지원하려는 회사의 문제유형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주관사에 따라서 모듈형, PSAT형, 피듈형 3가지로 구분됩니다. 공부하기 전에 방향성을 잡는 것이 우선입니다.

 NCS 모듈형 시험에서는 상식선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 모듈 학습 워크북 이론을 숙지하고 있어야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NCS 직업기초능력별 모듈 학습 워크북 이론을 암기하고, 관련문제를 반복적으로 풀어야 합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입니다.

수리능력_02_학습자용.pdf
3.56MB

 

개념정리

 1. 수리능력의 구성

  (1)기초연산능력

    ①의미

     :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기초적인 사칙연산과 계산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칙연산: 사칙연산이란 수에 관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 종류의 계산법으로 사칙계산이라고도 한다. 보통 사칙연산은 정수나 분수 등에서 계산할 때 활용되며, 여러 부호가 섞여 있을 경우네는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다.

 

 2. 수리능력의 업무상 중요성

  : 수리능력은 여러 가지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들을 추상화, 계량화하여 그 본질적 성질에 대해 설명하는 능력으로, 단순히 숫자 계산만을 말하거나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만 필요한 능력이 아니다.

  (1)수학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 수학적 사고를 적용하는 습관을 갖게 되면 여러 문제들을 쉽게 분류하고, 그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페르미 추정: 어떠한 문제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과 논리적 추론만으로 짧은 시간 안에 대략적인 근사치를 추정하는 방법

▲트리즈: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정의하고, 그 결과를 얻는 데 관건이 되는 근본 모순을 찾아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해결안을 얻을 수 있도록 생각하는 방법

  (2)직업 세계의 변화에 적응

   : 전직 이직 등 세계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수리능력이 필요하다.

  (3)실용적 가치의 구현

   : 수리능력을 통해 업무상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서 수량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아이디어나 개념을 도출할 수 있다.

 

①기초연산능력

 1. 단위 환산표

  : 업무를 수행하는 데 흔히 활용하는 단위로는 길이, 넓이, 부피, 들이(용량), 무게, 시간, 할푼리 등이 있다.

단위 단위환산
길이 1cm = 10mm 1m = 100cm 1km = 1,000m
넓이 1cm^2 = 100mm^2 1m^2 = 10,000cm^2 1km^2 = 1,000,000m^2
부피 1cm^3 = 1,000mm^3 1m^3 = 1,000,000cm^3 1km^3 = 1,000,000,000m^3
들이 1mL - 1cm^3 1dL = 100cm^3 = 100mL 1L=1,000cm^3 = 10dL
무게 1kg = 1,000g 1t = 1,000kg = 1,000,000g -
시간 1qns = 60초 1시간 = 60분 = 3,600초 -
할푼리 1푼 = 0.1할 1리 = 0.01할 = 0.1푼 1모 = 0.001할 = 0.01푼 = 0.1리

 

②기초통계능력

 1. 통계

  (1)통계의 개념

   : 통계란 집단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양적 표현을 반영하는 숫자를 의미한다. 특히 통계적 방법의 급속한 진보와 보급에 따라 자연적인 현상이나 추상적인 수치의 집단도 포함해서 일체의 집단적 현상을 숫자로 나타낸 것도 포함하고 있다.

  (2)통계의 조사방법

조사방법 내용
전수조사 분석 대상을 모두 조사하는 방법으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표본조사 전체(모집단)를 대표하는 일부분(표본)을 뽑고 표본을 조사, 분석하여 전체(모집단)의 특성을 유추하는 방법이다.

 

 2. 기본적인 통계치

  (1)빈도와 빈도분포

   : 빈도(빈도수, 도수)란 어떤 측정값의 측정된 횟수 또는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의미하고, 빈도분포(도수분포)란 그러한 빈도를 표나 그래프로 종합하여 일목요연하게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빈도분포는 보통 빈도수와 백분율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상대도수 또는 누적도수로 나누어 표시하기도 한다.

  (2)평균

   : 평균은 모든 자료의 자료값을 합한 후 자료값의 개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자료값 전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나 극단적인 값이나 이질적인 값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 전체를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1, 2, 3, 4, 5의 평균은 3으로 관찰값 전체를 대표하기에 적절하지만, 1, 2, 3, 4, 100의 평균은 22로 관찰값 전체를 대표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산술평균: 전체 관찰 값을 모두 더한 후 관찰 값의 개수로 나눈 값

▲가중평균: 각 관찰 값에 자료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곱하여 모두 더한 값을 가중치의 함계로 나누어 구한 값

  (3)백분율

   : 백분율은 전체 수량을 100으로 할 때, 나타내려는 수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기호는 %(퍼센트)로 나타내며, 100분의 1이 1%에 해단된다. 백분율은 오래 전부터 실용계산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원형 그래프 등을 이용하면 이해하기 쉽다.

 

 3. 통계기법

  (1)범위

   : 관찰값의 흩어진 정도를 가장 간단하게 알아보는 방법으로, 최댓값에서 최솟값의 차이다.

  (2)분산

   : 자료의 퍼져 있는 정도를 구체적인 수치로 알려주는 도구이다. 각 관찰값과 평균값과의 차이의 제곱을 모두 더한 값을 관찰값의 개수로 나누어 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관찰값과 평균값과의 차이의 제곱을 모두 합한 값을 개체의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3)표준편차

   : 분산값의 제곱근 값을 의미한다. 개념적으로는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집단의 관찰값이 1,2,8,9이고 평균이 5라면, 집단의 분산은 위에서 구한 바와 같이 12.5가 되며, 여기서 표준편차는 12.5의 제곱근 값이 된다.

표준편차 의미
큰 표준편차 자료들이 넓게 퍼져 있고, 이질성이 큰 것을 의미
작은 표준편차 자료들이 집중되어 있고, 동질성이 큰 것을 의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