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토질 및 기초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카리R 2019. 10. 4.

 1. Mohr- Coulomb의 파괴이론

  (1)흙의 전단강도

   :흙의 전단강도는 흙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점착력과 내부마찰력으로 이루어진다.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여기서, tau: 전단강도(kg/cm^2), c: 점착력(kg/cm^2), sigma': 수직응력(kg/cm^2), phi: 내부마찰각(도))

   ※건조토 or 습윤토의 경우에는 u(간극수압)이 0이므로 유효응력(sigma')을 전응력(sigma)로 쓰기도 한다.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2)파괴포락선

   1)A점: 전단파괴가 일어나기 전의 상태이다.

   2)B점: 전단파괴가 일어난 상태이다.

   3)C점: 전단파괴가 이미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이론상 존재 할 수 없다.

 

  (3)흙의 종류에 따른 파괴포락선

   1)일반 흙(A)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2)모래(B)

    : 모래 지반에서는 점착력 c=0이므로 tau=tan(phi)*sigma' 즉, 조립토인 경우의 전단강도는 입자간의 내부마찰각에 의하여 좌우된다.

 

   3)포화점토(C)

    :포화점토 지반에서는 내부마찰각 phi=0이므로 tau=c 즉, 점성이 큰 흙의 전단강도는 대부분이 점착력에 의하여 지배된다.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4)유효응력에 의한 전단강도식

   1)유효응력은 전응력에서 중립응력을 뺀 값이다.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습윤 or 건조토의 경우 간극수압은 ‘0’이다.

   2)전단강도식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여기서, c': 점착력, sigma': 유효수직응력, phi': 내부마찰각)

    ※여기서 '의 의미는 없다.

   3)유효응력으로 표시한 점착력 값

    ·모래와 무기질 흙은 0이다.

    ·정규압밀점토는 0에 가깝다.

    ·과압밀점토는 0보다 크다.

 

  (5)Mohr의 응력원

   1)주응력면(Principal planes)

    : 평면응력(Plane stress)에서 수직응력 sigma_n이 최대이고 전단응력 tau_n이 최소(tau_n=0)가 되는 두 단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면을 주응력면이라 한다. 즉, 주응력면은 전단응력이 0인 주응력이 작용하는 면이다.

   2)주응력(Principal stress)

    : 주응력면 위에 작용하는 법선응력들을 주응력이라 한다. 이 때, 최대인것을 최대주응력(sigma_1), 최소인 것을 최소주응력(sigma_3)이라 한다.

   3)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sigma)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4)파괴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tau)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sigma_1은 20이고, sigma_3는 10이다. theta는? 30? 아니다. 최대주응력이 작용하는면(최대주응력면)과 m-m이 이루는 각을 theta라 한다. theta는 60도 이다.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6)Mohr원과 파괴포락선

   1)파괴포락선과 Mohr원이 X점이서 접한다.

   2)A와 X를 잇는 선이 전단파괴면이다.

   3)파괴면과 최대주응력면이 이루는 각(theta)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2. 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

  (1)전단시험의 종류

실내실험

실외실험

직접전단시험

일축압축시험

삼축압축시험

베인전단시험

원추관입시험

표준관입시험

 

  (2)직접전단시험(Direct shear test)

   : 전단시험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간단한 전단시험 방법이다.

   1)적용범위: 사질토

   2)시험방법: 수직하중을 가한 후, 수평력을 가하여 전단하여 내부마찰각(phi)과 점착력(c)을 구한다.

   3)전단응력

    ①1면 전단시험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②2면 전단시험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3)일축압축시험(Unconfined compressure test)

   1)적용범위

    ①점토의 압축성 및 강도 추정을 위한 시험이다.

    ②점성이 없는 사질토의 경우 시료 자립이 어렵고 배수상태는 파악 할 수 없어 일반적으로 점성토에 주로 사용한다.

   2)시험방법: 비압밀 비배수 시험(UU-test)에서, sigma_3=0인 상태의 삼축압축시험과 같다.

   3)결과정리

    ①최대주응력면과 파괴면이 이루는 각(theta)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일축압축시험은 Mohr원을 하나만 작도할 수 있다.

    ②일축압축강도(q_u)

     -공식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일축(시험)에 가서 이씨(2c) 타이탄(tan)을 타고, 파이프(phi)를 사오(45)라고 한다.

     -phi=0도인 포화점토의 일축압축강도: q_u=2c_u

     -단위: kg/cm^2

 

  (4)삼축압축시험(Triaxial shear test)

   1)개요: 현장 조건과 가장 유사하게 할 수 있는 실내 전단강도시험이다.

   2)시험방법: Casagrande가 직접전단시험의 단점을 보완하려고 원통형 시료를 써서 개발하였다.

    ①직경 38.1mm, 길이 76.2mm의 시료를 트리밍(Trimming) 한다.

    ②시료를 얇은 고무막에 싸서, 압력실 내에 설치한다.

    ③구속응력(sigma_3, 액압, 등방압축)을 가한다.

    ④축차응력(델타sigma, sigma_1-sigma_3, 일축압력)을 가하여 전단한다.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파괴시의 하중(P)을 파괴시의 단면적(A)으로 나누었을 때의 응력을 축차응력(델타sigma)이라 한다.

    ※파괴시의 단면적(A)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A_i: 초기 단면적, epsilon: 변형률)

   3)배수방법에 따른 적용의 예

배수방법

적용

비압밀

비배수

(UU-test)

-점토지반이 시공 중 또는 성토한 후 급속한 파괴가 예상될 때

-압밀이나 함수비의 변화가 없이 급속한 파괴가 예상 될 때

-점토지반의 단기적 안정해석

압밀

비배수

(CU-test)

-성토 하중으로 어느 정도 압밀된 후 급속한 파괴가 예상될 때

-기존의 제방, 흙 댐에서 수위가 급강하할 때의 안정해석

-사전압밀(Pre-loading)후 급격한 재하시의 안정해석

압밀

배수

(CD-test)

-성토 하중에 의하여 압밀이 서서히 진행되고 파괴도 극히 완만하게 진행될 때

-간극수압의 측정이 곤란할 때

-점토지반의 장기적 안정해석

-흙 댐의 정상류에 의한 장기적인 공극수압을 산정할 때

※시간 많이 걸리니 bar(CU) 고안

   4)배수조건에 따른 전단 특성

    ①비압밀 비배수 시험(UU-test)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②압밀 비배수 시험(CU-test)

     ㉮정규 압밀 점토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과압밀 점토

[토질 및 기초] 제 5장. 흙의 전단강도(Mohr- Coulomb의 파괴이론/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1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