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구관로 계획
(1)하수관거의 계획하수량
1)오수관거: 계획 시간 최대 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2)우수관거: 계획우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3)합류관거: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 + 계획우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4)차집관거: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이상, 우천시 계획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2)하수관거의 수리공식
1)유량공식
2)유속공식
㉠Manning공식
: 하천 및 하수관거 등의 개수로에서 널리 사용된다.
※R과 I는 제 4장 3. (1) 참고
㉡Chezy공식
: 개수로 및 관수로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3)하수관거의 유속 및 구배
1)하수관거 내의유속
㉠관거의 유속범위
구분 |
유속 |
비고 |
오수관거 |
0.6~3.0m/sec |
이상적인 유속: 1.0~1.8m/sec |
우수 및 합류관거 |
0.8~3.0m/sec |
2)하수관거의 구배(경사)
㉠구배의 선정조건
·관거내의 토사 등이 침전, 정체하지 않는 유속의 경사이어야 한다.
·하류에서의 유속은 상류보다 크게 해야 한다.
·구배는 하류로 갈수록 완만하게 한다.
·관거에 손상을 주는 급경사는 피하도록 한다.
㉡하수관거의 일반적인 구배
2. 하수도관
(1)하수도관
1)하수도관의 구비조건
㉠외압에 대한 강도가 충분하고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커야 한다.
㉡관거내면이 매끈하고 조도계수가 작고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유량변동에 대해서 유속변동이 적은 수리특성을 가진 단면형이어야 한다.(원형)
㉣재질은 산·알칼리에 대한 내구성이 좋고 모래 등의 유하에 대한 내마모성이 강해야 한다.
㉤이음의 시공이 용이하고 수밀성과 신축성이 높아야 한다.
㉥중량이 작고, 운반 및 설치공사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2)하수도관의 종류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Hume관)
·하수도관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수밀성과 강도가 크고 외압에 대한 강도가 크며 내면도 매끈하다.
·산성 및 알칼리성에 약하다.
·중형관에 사용한다.
(2)하수관거의 단면
1)하수관거 단면별 특징
형상 |
장점 |
단점 |
원형 |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내경 3,000mm정도 까지 공장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된다. ·역학계산이 간단하다. |
·안전을 위해 특수기초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연결부가 많아져 지하수 침투량이 많아질 염려가 있다. |
장방형 |
·만수까지 수리학상 유리하다. ·시공장소의 토피, 폭원에 제한을 받는 경우와 대규모 공사에 유리하며 공장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역학계산이 간단하다. |
·현장 타설일 경우 공기가 길어진다. ·상부하중에 대해 불안전한 경우가 있다. |
마제형 |
·수리학상 유리하다. ·대구경관에 유리하고 경제적이다. ·상부의 아치작용으로 역학상 유리하다. |
·현장타설일 경우 공기가 길어진다. ·단면이 복잡하여 시공이 어렵다. |
계란형 |
·유량이 적은 경우 원형관에 비해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원형관에 비해 관폭이 작아도 되고 수직방향의 토압에 유리하다. |
·재질에 따라 제작비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수직정도가 요구되므로 면밀한 시공이 필요하다. |
※토피: 매설깊이
※폭원: 땅이나 지역의 넓이.
(3)최소관경과 관의 매설
1)최소관경 및 매설깊이
관거의 종류 |
최소관경 |
관거의 최소 매설깊이 |
오수관거 |
200mm |
·관거의 최소 매설깊이는 1m ·차도는 1.2m 보도는 1.0m이상 ·대개의 경우 1.5~2.0m 정도로 매설 |
우수 및 합류관거 |
250mm |
※원형관에서 유속이 최대가 되는 수심은 0.81D
※원형관에서 유량이 최대가 되는 수심은 0.94D
'토목기사 > 상하수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하수도학]제 8장 하수처리장 시설(하수처리 개요/예비처리 및 최초침전지)#1 (0) | 2019.12.31 |
---|---|
[상하수도학]제 7장 하수관로 시설(하수관거의 접합 및 시공/관정부식 및 우수량 조절시설/기타 부대시설)#2 (0) | 2019.12.30 |
[상하수도학]제 6장 하수도시설계획(계획우수량/계획오수량)#2 (0) | 2019.12.28 |
[상하수도학]제 6장 하수도시설계획(하수도계획/하수의 배제방식/하수관거 배치방식)#1 (0) | 2019.12.27 |
[상하수도학]제 5장 정수장 시설(염소 소독/기타 정수 처리법/정수장 배출수 처리)#3 (0) | 2019.12.26 |
댓글